해마다 학기초가 되면 학부모들은 자녀 문제로 골머리를 앓는다. 하도 교육에 매달리다 보니 아이의 행동이 조금만 이상해도 우리 아이가 친구들과 잘 지내는지, 집단따돌림을 당하지는 않는지, 공부는 제대로 하는지 걱정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그렇다고 어설프게 달려들다가는 자녀와의 관계만 악화될까 망설여지기 일쑤이다.
전국의 16개 시·도가 운영중인 청소년종합상담실은 이같은 문제를 풀어주는 곳이다. 학부모는 누구나 방문, 부모넷(bumonet.or.kr)이나 상담실 홈페이지, 전화로 상담할 수 있다. 서울시는 자녀와의 관계 개선이나 의사소통방법 모색, 바람직한 부모 모색을 위한 학부모 집단상담 프로그램도 주기적으로 운영한다.
◇무엇을 상담하나=서울시 청소년상담실이 1998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의 상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부모들의 걱정은 자녀와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게 대부분이다. 아이의 성문제나 대인관계, 가족과의 관계, 성격 등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또 자녀의 비행이나 성문제, 정신건강에 대한 상담은 줄어드는 반면 자녀와의 갈등, 학업문제, 생활습관이나 태도 등에 대한 상담은 늘어나는 추세다.
이곳의 김영혜 상담원은 “학기초에는 학업문제나 학교부적응, 대인관계 성격문제와 관련된 상담이 주를 이룬다”면서 “혼자 해결하려고만 하지 말고 상담실을 찾아 얘기를 나누다보면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상담 사례=주부 ㄱ씨는 고 1인 딸이 새학기를 맞아 학교에 자주 지각하고 무단결석하더니 등교를 거부하는 통에 상담실을 찾았다. 상담 결과 딸이 중학교 때 친하게 지내던 친구가 전학간 뒤 우울한 데다 부모와의 불화로 친구들과도 거리를 두다가 등교거부까지 이르게 됐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딸은 대인관계 훈련과 부모와의 대화를 통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회복하고 학교생활에 점차 적응해 가고 있다.
주부 ㄴ씨가 상담실을 찾은 것은 초등 5학년인 큰딸의 난폭한 성격 때문. 큰딸은 동생을 자주 때리고 신경질적이며 무어라 잔소리라도 하면 화를 내고 난리법석을 떨었다. 상담 결과 큰딸은 자신이 동생에 비해 사랑과 인정을 받지 못한다고 생각하고 동생과 비교하는 것을 싫어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ㄴ씨는 상담원의 조언에 따라 딸을 논리적으로 이해시키거나 따지기보다는 불만을 수용하고 인정하면서 불안을 감소시키도록 유도했다.
◇어떻게 대처하나
①학교에 가지 않으려고 할 때=담임선생님에게 연락해 학교생활을 점검하는 게 필수적이다. 무조건 학교를 가라고 다그치기보다는 자녀의 처지에 서서 학교에 가지 않으려는 이유를 물어보고 생각을 들어볼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학교를 가지 않으려는 이유를 대라’고 따지듯 물으면 안된다. 돕겠다는 마음이 바탕이 돼야 한다.
②친구들과 어려움이 있을 때=집단따돌림을 당하고 있는지, 폭력적인 아이들로부터 위협받고 있는지 등을 담임선생님과 친구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자녀들이 어려움을 털어놓을 수 있도록 위로하고 격려하는 분위기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 집단 따돌림을 당하고 있을 때는 자녀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따뜻하게 감싸안은 뒤 혹시 자녀의 행동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도 살펴봐야 한다.
③컴퓨터에 중독됐을 때=컴퓨터의 위치를 아이 방에서 가족 모두가 사용하는 공간으로 옮겨야 한다. 또 아이와 컴퓨터 사용시간에 대해 합의하고 약속된 시간에 컴퓨터를 할 때는 잔소리하지 말아야 한다. 나아가 컴퓨터에 매달리는 이유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관심을 돌릴 대상을 같이 찾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성인사이트 차단장치를 설치하고 컴퓨터로 유익한 정보를 얻는 것이 무엇인지 대화을 통해 풀어나가는 게 중요하다.
④진로로 고민할 때=부모가 원한다고 자녀에게 강요하지 말아야 한다. 자녀의 흥미나 적성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찾아주거나 설명하되, 결정은 자녀와 함께 해야 한다. 자녀의 흥미나 적성을 파악하기 어려울 때는 객관적인 적성검사를 받아보면 도움이 된다.
〈조찬제기자 helpcho65@kyunghyang.com〉
경향신문
전국의 16개 시·도가 운영중인 청소년종합상담실은 이같은 문제를 풀어주는 곳이다. 학부모는 누구나 방문, 부모넷(bumonet.or.kr)이나 상담실 홈페이지, 전화로 상담할 수 있다. 서울시는 자녀와의 관계 개선이나 의사소통방법 모색, 바람직한 부모 모색을 위한 학부모 집단상담 프로그램도 주기적으로 운영한다.
◇무엇을 상담하나=서울시 청소년상담실이 1998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의 상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부모들의 걱정은 자녀와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게 대부분이다. 아이의 성문제나 대인관계, 가족과의 관계, 성격 등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또 자녀의 비행이나 성문제, 정신건강에 대한 상담은 줄어드는 반면 자녀와의 갈등, 학업문제, 생활습관이나 태도 등에 대한 상담은 늘어나는 추세다.
이곳의 김영혜 상담원은 “학기초에는 학업문제나 학교부적응, 대인관계 성격문제와 관련된 상담이 주를 이룬다”면서 “혼자 해결하려고만 하지 말고 상담실을 찾아 얘기를 나누다보면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상담 사례=주부 ㄱ씨는 고 1인 딸이 새학기를 맞아 학교에 자주 지각하고 무단결석하더니 등교를 거부하는 통에 상담실을 찾았다. 상담 결과 딸이 중학교 때 친하게 지내던 친구가 전학간 뒤 우울한 데다 부모와의 불화로 친구들과도 거리를 두다가 등교거부까지 이르게 됐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딸은 대인관계 훈련과 부모와의 대화를 통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회복하고 학교생활에 점차 적응해 가고 있다.
주부 ㄴ씨가 상담실을 찾은 것은 초등 5학년인 큰딸의 난폭한 성격 때문. 큰딸은 동생을 자주 때리고 신경질적이며 무어라 잔소리라도 하면 화를 내고 난리법석을 떨었다. 상담 결과 큰딸은 자신이 동생에 비해 사랑과 인정을 받지 못한다고 생각하고 동생과 비교하는 것을 싫어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ㄴ씨는 상담원의 조언에 따라 딸을 논리적으로 이해시키거나 따지기보다는 불만을 수용하고 인정하면서 불안을 감소시키도록 유도했다.
◇어떻게 대처하나
①학교에 가지 않으려고 할 때=담임선생님에게 연락해 학교생활을 점검하는 게 필수적이다. 무조건 학교를 가라고 다그치기보다는 자녀의 처지에 서서 학교에 가지 않으려는 이유를 물어보고 생각을 들어볼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학교를 가지 않으려는 이유를 대라’고 따지듯 물으면 안된다. 돕겠다는 마음이 바탕이 돼야 한다.
②친구들과 어려움이 있을 때=집단따돌림을 당하고 있는지, 폭력적인 아이들로부터 위협받고 있는지 등을 담임선생님과 친구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자녀들이 어려움을 털어놓을 수 있도록 위로하고 격려하는 분위기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 집단 따돌림을 당하고 있을 때는 자녀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따뜻하게 감싸안은 뒤 혹시 자녀의 행동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도 살펴봐야 한다.
③컴퓨터에 중독됐을 때=컴퓨터의 위치를 아이 방에서 가족 모두가 사용하는 공간으로 옮겨야 한다. 또 아이와 컴퓨터 사용시간에 대해 합의하고 약속된 시간에 컴퓨터를 할 때는 잔소리하지 말아야 한다. 나아가 컴퓨터에 매달리는 이유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관심을 돌릴 대상을 같이 찾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성인사이트 차단장치를 설치하고 컴퓨터로 유익한 정보를 얻는 것이 무엇인지 대화을 통해 풀어나가는 게 중요하다.
④진로로 고민할 때=부모가 원한다고 자녀에게 강요하지 말아야 한다. 자녀의 흥미나 적성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찾아주거나 설명하되, 결정은 자녀와 함께 해야 한다. 자녀의 흥미나 적성을 파악하기 어려울 때는 객관적인 적성검사를 받아보면 도움이 된다.
〈조찬제기자 helpcho65@kyunghyang.com〉
경향신문